250x250
기리도
기리도의 개발새발 개발 일지
기리도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44)
    • Unity (6)
      • 모듈식 프로그래밍 (1)
    • C# (10)
    • 자료구조,알고리즘 (2)
    • 운영체제 (10)
      • 공룡책 (3)
      • 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인프런 강의) (7)
    • 리팩토링 (1)
    • 네트워크 (13)
      • 네트워크 장비 (13)
    • C, C++ 문법 (1)
      • 기타 (0)
      • C (1)
      • C++ (0)
    • 디자인 패턴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OS
  • 개발공부
  • Unity
  • 유니티
  • 네트워크
  • 인프런
  • 네트워크 게임
  • 게임개발
  • 브릿지
  • 탄환
  • 네트워킹
  • 개발
  • 운영체제
  • 길찾기
  • 통신
  • C#
  • 프로그래밍
  • 스위치
  • 알고리즘
  • 공부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기리도

기리도의 개발새발 개발 일지

가상 랜(Virtual LAN)
네트워크/네트워크 장비

가상 랜(Virtual LAN)

2022. 5. 26. 22:36
728x90

📕가상 랜(Virtual LAN)

말 그대로 가상적으로 구성된 근거리 통신망(LAN)으로, 스위치에서 제공하는 기능이다. 라우터만으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누려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개수만큼 인터페이스가 필요한데, VLAN을 이용하면 인터페이스 개수에 구애받지 않고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눌 수 있다.

아래는 가상랜으로 구성한 네트워크의 모습이다.

위 그림에서 두 스위치는 트렁크 포트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스위치에는 VLAN-10과 VLAN-20이 있다. 위 구성에서 VLAN-10과 VLAN-20은 서로 통신할 수 없지만 VLAN-10이나 VLAN-20끼리는 스위치가 달라도 트렁크 포트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전송되는 패킷에 VLAN 정보도 들어있기 때문이다.

📖트렁킹(Trunking)

트렁크(Trunk)란 두 스위치를 연결하는 물리적, 논리적, 집합적 통로이다(참고).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여러 VLAN을 하나의 통로로 묶어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통로라고 할 수 있다. 만약 트렁크가 없다면 각 VLAN마다 따로 통로를 만들어주어야 한다.

트렁크로 여러 VLAN을 함께 보내는 것을 트렁킹이라고 하며, 각각의 VLAN은 서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자신에 대한 정보를 패킷에 담아 보낸다. 이때 자신의 정보를 담는 방식에 따라 ISL 방식의 트렁킹과 IEEE 802.1Q 방식의 트렁킹으로 구분된다.

📖VLAN의 구성(시스코)

시스코 네트워킹에서 VLAN을 구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VTP 도메인 이름 생성
  2. VTP 모드 설정
  3. VLAN 생성 및 포트 지정, 필요 없는 VLAN 삭제

🔖용어정리

ISL(Inter-Switch Link): 두 스위치의 연결하는 통로로, 시스코 네트워킹에서 사용된다.(참고)

VTP(VLAN Trungking Protocol): 스위치들이 지닌 VLAN 정보를 일치시키는 프로토콜. 시스코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된다.

IEEE 802.1Q: VLAN 상에서 스위치 간에 VID(VLAN Identifier)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IEEE에서 정한 표준이다.

728x90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네트워크 > 네트워크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우터  (0) 2022.05.27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panning Tree Protocol : STP)  (0) 2022.05.17
서브넷(Subnet)과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0) 2022.05.10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0) 2022.05.09
라우터(Router)  (0) 2022.04.29
    '네트워크/네트워크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라우터
    •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panning Tree Protocol : STP)
    • 서브넷(Subnet)과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
    •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
    기리도
    기리도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서 올리는 블로그입니다.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