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x250
기리도
기리도의 개발새발 개발 일지
기리도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44)
    • Unity (6)
      • 모듈식 프로그래밍 (1)
    • C# (10)
    • 자료구조,알고리즘 (2)
    • 운영체제 (10)
      • 공룡책 (3)
      • 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인프런 강의) (7)
    • 리팩토링 (1)
    • 네트워크 (13)
      • 네트워크 장비 (13)
    • C, C++ 문법 (1)
      • 기타 (0)
      • C (1)
      • C++ (0)
    • 디자인 패턴 (1)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프로그래밍
  • 탄환
  • 유니티
  • 네트워크 게임
  • 개발공부
  • 공부
  • 스위치
  • C#
  • 길찾기
  • 인프런
  • 브릿지
  • 게임개발
  • 운영체제
  • 통신
  • 알고리즘
  • OS
  • 네트워크
  • 개발
  • 네트워킹
  • Unity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기리도

기리도의 개발새발 개발 일지

네트워크/네트워크 장비

NIC(Network Interface Card)

2022. 4. 27. 14:43
728x90

📁NIC(Network Interface Card)


📖NIC란?

흔히 랜카드라고 말하는 네트워크 장비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허브와 스위치, 라우터 등에 전달하거나 전달 받은 데이터를 CPU에 넘기는 역할을 한다. 사용 환경이나 속도, 접속 케이블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 분류

사용 환경에 따른 분류: 이더넷용 랜카드, 토큰링용 랜카드, FDDI, ATM용 랜카드
설치 장소에 따른 분류: 데스크톱용 랜카드, 노트북용 랜카드(PCMCIA 방식), 프린터 포트용 등
속도에 따른 분류: 10메가, 100메가, 10/100메가, 1기가 등(이더넷용 랜카드의 경우)
접속 케이블에 따른 분류: TP 포트가 있는 랜카드, BNC나 AUI 프로토콜을 가진 랜카드, 광케이블과 접속하는 랜카드 등

📑 데이터 전송 과정

맥 어드레스를 대조해 데이터의 목적지가 자신이 맞다면 랜카드는 IRQ(인터럽트 요청)을 통해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이때 여분의 IRQ가 없다면 랜카드는 인식되지 않으며, 정상적으로 랜카드가 인식되었다면 CPU가 Base Memory에서 작업을 시작한다.

728x90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네트워크 > 네트워크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위치(Switch)와 브릿지(Bridge)  (0) 2022.04.29
허브(HUB)  (0) 2022.04.28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0) 2022.04.24
맥 어드레스(MAC Address)  (0) 2022.04.24
이더넷(Ethernet)과 토큰링(TokenRing)  (0) 2022.04.24
    '네트워크/네트워크 장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위치(Switch)와 브릿지(Bridge)
    • 허브(HUB)
    •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 맥 어드레스(MAC Address)
    기리도
    기리도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서 올리는 블로그입니다.

    티스토리툴바